Book Review

19단의 비밀 다음은 인도다

soocut28 2025. 3. 5. 16:22

19단의 비밀 다음은 인도다.
저자: 이장규,김준술

출판사: 생각의나무

출판일: 2004년 11월

 

최근 전세계적인 경제공황이 시작되면서, 우리 경제생활과 산업과 전반적인 연관이 있는 에너지 시장도 커다란 출렁거림을 겪었다. 유가와 석유제품 가격은 고점을 대비로 하여 절반 이하로 급락했고, 하루에도 몇 달러씩 변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경을 쓸 일들이 무척이나 많아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솔직히 말한다면, 거래가 거의 실종되었다고 할 정도로 시장은 침묵에 빠져 가고 있다.

내년도에 경제상황이 좋아질 것이라는 대통령과 정부 여당의 말은 공허한 메아리처럼 들린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라고 할 수 있는 주요 업종의 내일은 지금 내가 느끼는 바로는 심각하기 때문이다. 해운시장의 급락은 선주사들의 파산과 수익악화, 그리고 이에 동반한 조선업의 불황, 경기침체에 따른 자동차 수요 하락, 그리고 자동차와 조선의 수요감소로 인한 철강업의 침체...그리고 이미 시작된 석유화학시장의 몰락과 최근 급격하게 이익이 축소되고 있는 에너지부분...

무거운 마음을 안고 있어봤자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오랫만에 서점에 들렀다. 책들을 살펴보고, 그동안 읽고 싶었던 책의 목록을 작성해서 재고가 있는 책 몇 권을 샀다. '19단의 비밀, 다음은 인도다.'은 그 중에 한 권이었다. 최근에 부상하고 있는 대국, 중국과 인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대부분은 투기적인 것이었지만)이 무척이나 컸었던 것이기는 했지만, 인도에 대해서는 나는 어떤 피상적인 이미지만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과 인도와 같은 거대국가들의 모습을 하나의 기준을 통해서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곳에는 21세기의 첨단과 19세기 근대가 공존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개인적으로는 경제발전의 과실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한계의 증명이기도 하다. 저자가 Reliance와 Tata와 같은 인도기업이 세계 유수의 기업에 못지 않은 실행력을 보이는 한편, 다른 한 곳에서는 아직도 카스트와 빈곤에 시달리는 전근대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들을 보는 것도 비슷한 이유에서 였다 즉, 산업화에 따른 관념의 변화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도의 장점은 영어가 가능한 잘 훈련된 전문인력群의 존재, 서비스업의 강점 등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카스트, 분파주의 (저자가 지적한 힌두교 근본주의), 관료주의, 인프라 부족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장점과 단점을 보면 인도가 처한 오늘의 현실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빈부격차와 다문화 통합에 대한 어려움이 아닐까? 저자가 말한 대로 인도가 서비스업에 중국이 제조업에 강점을 가진 것은 그들이 본격적으로 경제발전을 시작한 시점에 유래한 것이기도 하고, 혹은 그 배경의 문제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서비스업이 미치는 인도경제에 대한 영향은 그다지 크지는 않다고 본다. 그렇다면 인도가 그 발전의 과실을 고루 나눠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국은 제조업의 발전을 이루지 않고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그 발전전략은 아마도 이 거대 국가에서 지역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오히려 그 과정에서 분열은 더 심화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도가 앞으로 풀어야 되는 문제는 너무나 많고 따라서, 저자가 말한 대로 향후 인도가 중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나는 의문이 든다.

본서는 인도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인도에 영함을 대비하여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서술했을 뿐 아니라, 간간히 인도에 대한 자료를 삽입하여 독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고 있으니, 인도시장을 목적으로 하는 비즈니스맨이든, 혹은 인도에 관심있는 일반독자이든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08.11.20.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아프리카인이다  (0) 2025.03.05
노동의 미래  (0) 2025.03.05
심장은 왼쪽에 있음을 기억하라  (0) 2025.03.05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1) 2025.03.05
찰리의 철학 공장  (1)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