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겨울의 끝
Ethan Frome
이디스 워튼 저/김욱동 역
열린책들 | 2002년 10월
이번 주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저녁 술자리를 가졌다. 조금 심하게 마신 날도 있었고, 간단하게 저녁식사에 반주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무래도 다음 주말에 출장을 가는 일정과 또 구정연휴가 연이어 오는 탓에 연말에 만나지 못한 사람들과의 약속이 많아질 수 밖에 없었다. 다소 지치는 감도 없지 않지만, 나에게 주어진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서 책을 읽어내려갔다.
책을 직접 받아들기 전까지는 '이디스 워튼'에 대한 것은 들어본 적이 없었다. 이디스 워튼이 비교적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프랑스에서 생활하면서 프랑스어 공부를 위해서 단편소설을 직접 창작하게 되면서 작가가 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지만 그녀의 결혼생활은 그렇게 평탄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에드워드 워튼과의 행복하지 않은 결혼생활은 그녀로 하여금 작품활동에 매진하게 하였고, 그녀는 플리처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작가가 되었다.
어쨌든 이디스 워튼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하고 잘 알려진 것이 'Ehtan Frome'이고, 93년에는 영화화가 되기도 했다. 줄거리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뉴잉글랜드 지방의 스탁필드라는 도시에서 농장과 목재소를 하는 주인공 '이선 프롬'이 그의 아내 '지나'의 병간호를 위해서 그녀의 먼 친척인 '매티 실버'와 함께 머물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선은 매티에게 매력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이선의 사랑을 눈치 챈 아내 지나는 매티를 내보내려고 하게 된다. 그리고 매티가 이선의 집을 떠나는 날, 둘은 함께 자살을 시도하나 실패하고 결국 매티는 척추가 부러지고 이선은 절름발이가 되고 만다. 그리고 이제는 그들이 돌보던 지나의 보살픔을 받게 되는 신세가 된다.
'Ethan Frome'의 등장인물은 그 하나하나의 캐릭터로 판단컨대, 아내 지나가 기존의 종교적 도덕적 위계구조를 뜻하고, 주인공인 이선 프롬은 이에 반대되는 입장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선 프롬이 매티와 함께 서부로 가지 못한 것, 그렇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자살을 시도했고, 그 마저도 실패해, 지나의 보살픔을 받게 되는 것은, 결국은 이러한 종교적 도덕적 위계구조를 깨지 못한 채, 결국 그 아래에 종속되는 상황은 아닐까. 또한 이러한 구조의 차용은 이디스 워튼 그녀 자신의 순탄치 못한 결혼생활과 맞물려진 것은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평가를 제외하고, 내가 이디스 워튼의 'Ethan Prome'에서 보다 가깝게 느껴진 것은 사람이 가지는 어떤 섬세한 감수성이 아닌가 생각되었다.
2008.1.12.
Edith Wharton (January 24, 1862 – August 11, 1937) was an American novelist, short story writer, and designer. Ethan Frome is a novel which was released in 1911 by the Pulitzer Prize-winning American author Edith Wharton. It is set in turn-of-the-century New England in the fictitious town of Starkfield, Massachusetts. The novel was adapted into a film in 1993.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피 후커 ; 행복한 창녀 (0) | 2025.03.04 |
---|---|
나는 달린다 (1) | 2025.03.04 |
학문의 즐거움 (0) | 2025.03.04 |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 (0) | 2025.03.04 |
빼앗긴 자들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