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빼앗긴 자들

soocut28 2025. 2. 24. 15:07

빼앗긴 자들 

The Dispossessed
어슐러 K. 르 귄 저/이수현 역 

황금가지 2002년 08월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로 시작해서 한꺼번에 주문해서 받은 SF소설의 마지막이었다. 한동안 잠깐 다른 분야의 책을 읽기는 했었지만, 그나마 국내에서 번역되어 출판된 대표적인 SF소설 들은 찾아서 읽고 싶었다. 운이 좋았던 탓인지 선택했던 책들에서 실망을 한 적은 없었다. 개인적으로 나에게 있었던 가장 큰 전환은 SF소설이 아이들이나 좋아하는 그리고 현실성 없는 스토리이기 때문에 그것이 주는 교훈과 이야기가 적을 것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났다는 것이다.

SF소설이라는 카테고리로 하여 서브장르가 수없이 많다는 것, 그리고 그 각 서브장르마다 가지는 그 독특한 재미와 메시지가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윌리엄 깁슨의 사이버 펑크 소설,  '스타쉽 트루퍼스', '영원한 전쟁'과 같은 밀리터리 SF가 가지는 상반된 이미지, '라마와의 랑데뷰'에서 보았던 사실적 SF장르, 필립 K 딕의 단편들, 올더스 헉슬리의 디스토리아 세계를 보여준 '멋진 신세계' 그리고 '뉴로맨서'만큼이나 나를 놀라게 했던 뉴웨이브 SF '신들의 사회'까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에 들고 방금 전 다 읽을 수 있었던 어슐리 르귄의 '빼앗긴 자들' 역시 여러가지 메시지를 강하게 주는 SF소설이었다.

'빼앗긴 자들'은 세티 행성계의 쌍둥이 별, 아나레스와 우라스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나레스는 200여년 전 우라스의 오도니안 운동 (일종의 아나키즘) 이후, 모든 것을 버리고 척박한 땅으로 이주한 정착민들로부터 거주가 시작된 행성으로, 일종의 아나키즘 사회였다. 그렇게 아나레스와 우라스는 서로가 상대방의 달이면서 또한 대조적인 자연환경 (척박한 아나레스와 풍요로운 우라스), 그리고 사회구조 (아나키즘 사회와 아키즘 사회)를 가지고 있다. 아나레스는 우라스와는 제한적인 상거래를 통해서만 접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절되어 있었다. 이야기는 물리학자 쉐벡의 출생으로부터  그가 아나레스에서 우라스로 가기 전까지를 그리고 그가 아나레스에서 우라스로 방문하면서 다시 아나레스로 돌아가기 까지의 이야기들이 각 장마다 번갈아서 서술되고 있다.

책의 내용을 길게 서술하는 것보다는, 책의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편이 나을 것 같다. 이 책은 1970년대 중반에 나왔고, 그 시기는 기존 권위에 반항하는 문화, 히피문화라든지 아나키즘이 유행했던 시기이다. 따라서 본서가 그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했다는 것은 쉽게 유추해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시대적 상황이라도 할 지라도 본서가 근본적으로 제기하는 문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그것은 사회적 인간의 유토피아는 어떤 것이라는 것이며, 보다 더 나아가서는 인간에 대한 신뢰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아나키즘 사회인 아나레스가 정부도 법률도 처벌도 강제도 없지만, 그 속에서 엄연한 권위주의와 관료제가 아울러 존재하며, 우라스 역시 그 내부에 깊은 상처들이 보인다. 그것은 풍요가 못가진 자들의 착취 위에 서 있고, 폭력이 일상적이라는 것이다. 극단적인 두 사회를 그 내부에 속한 사람들은 서로를 동경하지만, 쉐벡이 우라스의 현실을 알고 분개했 듯, 아나레스로의 이주를 원하는 우라스의 오도니안들 역시 같은 감정을 느낄 것이다. 어느 것이 정답일까? 양극단이 아니라 아마도 작가는 그 중간의 합의점을 우리들 스스로가 찾길 바랬을 지도 모른다.

 

2008.1.5.

 


Ursula Kroeber Le Guin  (born October 21, 1929) is an American author. She has written novels, poetry, children's books, essays, and short stories, most notably in the fantasy and science fiction genres. She was first published in the 1960s. Her works explore Taoist, anarchist, ethnographic, feminist,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themes. She has received several Hugo and Nebula awards, including the Gandalf Grand Master Award in 1979 and th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 Grand Master Award in 2003.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문의 즐거움  (0) 2025.03.04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  (0) 2025.03.04
상식론  (0) 2025.02.24
신들의 사회  (0) 2025.02.24
영원한 전쟁  (0)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