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
The Selfish Gene
리처드 도킨스 저
을유문화사 2006년 11월
오랫동안 알고 지냈던 Sally에게서 선물로 받은 책이 '이기적 유전자'였다. 그 동안, 일로 바쁜 탓에 시간이 나지 않았던 탓에 중간까지 읽다가 놔두고 다시 읽기를 3-4번을 반복했던 것 같다. 간만에 조금 한가로운 시간을 집에서 혼자서 보낼 수 있었고, 책을 꺼내 천천히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나는 출간된 이후로 30년이 지났고, 인간의 본질, 아니 나아가서는 생명체의 본질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새로운 관점을 가져다 주었던 이 명저가 정말로 어처구니없이 조악한 번역으로 인해서 엉망이 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 안타깝다는 것을 먼저 밝히고 싶다. 서울대 자연과학대 생명공학부 교수라는 번역자에 대해서 의문이 생겼다. 대체 그 사람은 어떻게 이렇게 엉망인 번역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이 정도의 번역이라면 나라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어쨌든, 내가 이 말을 먼저 하는 것은 '이기적 유전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한국어판보다는 원서로 읽어보시길 권하고 싶기 때문이다. 오히려 원서가 이해하기가 더 쉽다는 사람들의 말도 심심치않게 들려오기 때문이다.
무신론자이며 다윈주의 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이 필요없을 것 같다. 나는 리처드 도킨스의 책은 '만들어진 신'과 '이기적 유전자' 2권만을 읽어보았을 뿐이지만, 그가 제시하는 새로운 관점에 대해서 공감을 하는 부분이 많았음을 그리고 어떤 부분에서는 내가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개념들이 그의 책을 통해서 정리가 된다는 생각마저 하게 되었다.
'이기적 유전자'는 1976년에 출간된 책으로 지금으로부터 30여년 전에 씌여졌지만, 그 내용은 아직도 사람들 사이에서는 논란의 여지로 남아있다. 리처드 도킨스는 그의 책을 통해서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는 유전자에 의해서 창조된 기계에 불과하다고 설명한다.
고대 지구의 원시스프 속에서 탄생한 자기복제자들은 외계로부터 격리된 장치, 즉 생명체에 존재하면서 복잡한 간접 경로를 통해 외계를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의 마음과 몸이 만들어졌으며, 유전자의 유지와 전달이 생명체가 존재하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생명체들은 유전자들의 생존기계일 뿐이다. 유전자는 자기보존과 전달이 우선적 과제이므로, 이를 위한 유전자는 이기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저자가 지적했듯이 그것은 어떤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생명체 중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간에 대해 리처드 도킨스는 '문화유전론'을 통해서 이를 설명하고 있다. 즉 인간이 가지는 문화에 대해서 '밈(Meme)'을 단위로 하는 문화유전론을 주장한다. 유전자가 자기 복제를 통해서 유전되는데 비하여, 밈은 일종의 모방으로 인간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전달되고 진화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대략적인 내용요약을 마치고자 한다. 더욱 관심이 있는 분은 직접 책을 구해서 한번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그리고 생명체의 본질과 우리 자신에 대해서 생각을 해볼 기회를 만들어 보도록 말해보고 싶다.
2008.2.23.
Richard Dawkins, FRS (born March 26, 1941) is a British ethologist, evolutionary biologist and popular science writer who holds the Charles Simonyi Chair for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Oxford. Dawkins first came to prominence with his 1976 book The Selfish Gene, which popularised the gene-centered view of evolution and introduced the term meme, helping found the field of memetics. In 1982, he made a widely-cited contribution to the science of evolution with the theory, presented in his book The Extended Phenotype, that phenotypic effects are not limited to an organism's body but can stretch far into the environment, including into the bodies of other organisms. He has since written several best-selling popular books, and appeared in many television and radio programmes, concerning evolutionary biology, creationism, and religion.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일본 정치사 (0) | 2025.03.04 |
---|---|
녹색은 적색이다 (0) | 2025.03.04 |
The Secret History of Al-Qa'ida (1) | 2025.03.04 |
이방인 (0) | 2025.03.04 |
해피 후커 ; 행복한 창녀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