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피용
Le Papillon Des Etoiles
저: 베르나르 베르베르
출판사: 열린책들
출판일: 2007년 07월
온라인으로 주문한 책들을 받아보는 데는 아무래도 배송시간을 고려한다고 하면, 2일의 시간이 족히 걸릴 것 같았다. 지하철에서 멍하니 있는다는 것이 얼마나 괴로운 일인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가까운 곳에 있는 서점으로 갔다. 새로 나온 책들이 가판대를 가득 채우고 있었는데,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책이 눈에 띄였다. 개미의 저자로 국내에서 매우 인지도가 높은 프랑스 작가... 그러나 나는 아직 그의 책을 한권도 읽지 않았다. 책을 고른다는 것도 어쩌면 인연이 작용하는 지도 모른다. 아무리 떠들석하게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인다고 하더라도 그 책을 내가 선택한다는 법은 없으며, 어떤 설명할 수 없는 매력의 힘이 작용해야 할 것이다.
책의 비닐을 벗기고 그 내용을 보니, 많은 삽화들이 책을 채우고 있었다. 마치 동화책을 받아든 느낌마저 들었다. 책의 내용은 사실 그다지 새로울 것은 없는 내용이었던 것 같다. 14만4천명이 거대한 우주선을 만들어 제2의 지구를 찾아 떠나는 천년간의 여행이 그것이다. 문득 책을 읽으면서 나는 아이작 아시모프(아마도 그였을 것 같은데)의 SF 소설을 어린 시절에 읽은 기억이 났다. 그 소설에서의 배경도 새로운 행성을 찾아 장대한 여행을 떠난 거대한 도시형 우주선에 대한 이야기이다. 본서가 이 장대한 우주여행의 처음을 매우 자세하게 그리고 그 역사를 아주 짧게 그리고 마지막을 장식했던 것과는 다르게, 다른 소설에서는 처음 우주여행을 계획했던 세대는 엄청나게 먼 과거로 지금은 돌연변이 뮤탄트들과 정상인들이 나누어져 살육전을 벌이는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마지막에 남녀 커플이 작은 우주선을 타고서 제2의 고향을 찾는 다는 것은 비슷한 스토리이다.
아마도 장거리 우주여행에 대한 이러한 비슷한 생각은 그것이 인간의 유한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인간의 기술력으로는 아마도 빛의 속도에 해당하는 고속의 우주선을 만들어내지 못할 것이다. 태양계를 떠나 장대한 여행을 떠나는 인간의 여정은 결국은 세대를 이어가는 기나긴 것이 될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본서가 단순한 SF소설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파피용, 즉 '나비'는 저자가 생각하는 한 개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것은 유충에서 나비로 변화하여 멀리 날아가는.. 즉, 불합리한 현실에서 희망을 찾아 떠나는 모습을 닮아보인다. 나에게는 그것은 탈출이라기보다는 '자유'를 찾아 떠나는 여정으로 보인다. 그것은 또 나에게는 동명의 영화 '파피용'의 이미지를 생각나게 한다. 하지만 저자는 우리들 인간의 한계성을 또한 놓치지지 않는 듯 보인다. 인간의 불완전함, 그것은 도시형 우주선의 장대한 역사 속에서 일어나는 피비린내 나는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행성에 도착한 남녀 한쌍의 모습이 성서의 아담과 이브와 오버랩되는 순간, 인간은 결국은 우매한 그 역사를 다시 반복할 것이라는 암시를 주는 듯 보인다. 과연 인간은 그 한계를 벗어던지고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그리고 종국에는 탈출만이 유일한 대안이 될 것인가. 그것은 저자가 마지막에 말했듯 아닐 것이다. 아마도 우리는 대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솔직한 심점으로는 그간 들어왔던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명성에 비해서 본서에 대해서는 적지않게 실망스러운 것은 사실일 듯 하다. 특히 중간부터 시작되는 우주선의 역사서술은 지루할 뿐이었다. 차라리 어느 한순간의 사건들을 소설의 전반부와 같이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술하면서 시간의 궤를 맞춰갔다면 소설은 더욱 흥미로웠을 것이다. 이 책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나중에 도서관이나 도서대여점에서 가볍게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어진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머리 여가수 (0) | 2025.02.24 |
---|---|
책상은 책상이다 (0) | 2025.02.24 |
이슬람 원리주의의 실체 (2) | 2025.02.24 |
Cambodia the Years of Turmoil (0) | 2025.02.17 |
중국을 뒤흔든 한국인의 상술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