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저: 사라알란
출판사: 예문서원
출판일: 1999년 06월
중국 사상가들은 자연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래서 종교 신학보다는 자연 세계로부터 가장 오래된 중국 철학의 개념들을 형성하기 위한 뿌리은유들을 제공받았다. 형태의 다양성과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비상한 능력을 갖고 있는 물은 자연의 이치뿐만 아니라 사람의 행위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일반적인 우주 원리들을 개념화하는 주요한 모델을 제공했다.
이 책에서는 중국철학의 언어 속에 함축된 은유 구조들을 드러냄으로써 개념이나 범주들의 구조나 내적관계를 알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고대 중국인들의 생각과 더욱 가까운 방식으로 서양인들의 생각을 구성하는 수단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서양에서는 중국과는 다른 언어를 매개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노력들이 완전한 성공을 거둘 수는 없겠지만, 세상을 다른 방법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믿는다.
철학은 특별한 용어, 즉 이론을 세울 수 있는 추상적인 언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추상적인 언어는 반드시 구체적 이미지에 근거한다. 라코프와 존슨이 '한문화에서 가장 근본적인 개념들의 은유구조'라고 지칭했던 것이 바로 이 책에서 사용하는 '뿌리 은유(root metaphor)이다.
고대 중국의 종교의 어떤 측면들은 중국 철학자들이 왜 보편적인 원리가 인간과 자연 세계를 지배한다고 가정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세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한 개인도 산 사람과 중근 사람을 다 포함하는 조상계보의 일부라고 여기는 중국 조상숭배의 의식이고, 둘째는 조상신과 자연의 영령에 대한 숭배이며, 셋째는 자연 세계와 인간세계에 대해 최고의 힘을 갖는다고 여기는 하늘의 역할이다. 조상계보 안에서의 각 개인은 식물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식물의 이미지 안에서 각 개인은 생성, 재생, 쇠퇴, 죽음이라는 연속적인 패턴의 부분으로 인식되었다.
자연의 힘이나 인간세계에 행사하는 힘으로서의 하늘의 역할은 중국의 철학자들이 세운 사람이 물이나 식물 같은 자연현상을 여구함으로써 인간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들을 끌어낼 수 있다.는 가정을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 인도, 유럽의 종교전통과 서양철학은 변화하는 인간의 세계와 대조되는 신성과 자연법칙같은 변하지 않는 실체 에 대한 개념인 초월성에 대한 가정에의존한다. 그러나 중국 종교는 조상의계보에 의해 영적세계와 현실세계가 직접 연결된다.
물을 지식의 원천으로 보는 공자의 전통은 순자에서도 계속된다. 즉, 군자는 물을 탐구하는 이유는 그가 열망하는 모든 원리들이 물의 여러 종류의 형태 속에 구체화되기 때문이다. 물의 원리와 인간행위의 원리를 동일시하는 것은 같은 원리가 자연세계와 인간세계를 합리적으로 지배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공자는 물을 탐구했고, 순자도 물의 여러가지 형태와 사람의 도덕적 특질 사이의 관계를 체계화하려고 시도했던 것이다.
고대 중국의 철학서적들을 읽을 때에는 그들의 표현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중국철학자들은 우주론적 원리들이 인간행위의 저변에 깔려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물과 자연현상을 탐구함으로써 자연계에 관한 원리들을 끌어내려고 했다.
개념은 은유에 근거한 추상적인 관념이다. 개념의 의미와 상호관계들은 그 이미지와 관련해서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형성된 개념은 추상적인 관념들이지 실물을 그대로 옮기는 언어와는 종류가 다르다. 개념은 생각이므로 그들의 근원과는 다른 자신들의 개념으로서의 생명을 갖고 있다. 그러나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원리들을 형성하는 데 자연현상들을 모델로 사용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과 관계된 이미지들은 철학적 논리의 어휘들 속에 여전히 내재한다.
본서는 중국철학적 개념을 형성하는 뿌리은유를 바탕으로 이것이 자연세계와 인간세계의 밀접한 연관으로 인하여 서양과는 전혀 다른 철학적 개념들을 형성했다는 것으로 , 특히 대표적인 것으로 물로 대표되는 은유의 개념을 중심으로 해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서양의 관점으로 보는 중국철학의 일면과 특징을 살펴보기에는 그다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소 약간은 어려울 수 있지만 충분히 읽을 만한 가치는 있다.
2006.11.26
Sarah Allan (Chinese: 艾蘭; pinyin: Ài Lán; born 1945) is an American scholar of ancient China. She is a Professor of Asian and Middle Eastern Languages and Literatures, and of Asian and Middle Eastern Studies at Dartmouth College; she has taught at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at London University. She is best known for her work on the mythological and philosophical systems of the early Chinese civilization. In her work, Allan has presented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basic concepts of the mythology of China's Shang dynasty based on evidence from several sources: Shang's inscriptions (primarily on oracle bones, as well as on occasional bronze utensils); myths and stories recorded during the Zhou and Han dynasties that followed the Shang, which appear to be derived from Shang sources; as well as archaeological data. Sarah Allan received a B.A.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and her M.A. and Ph.D. degree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0) | 2025.02.11 |
---|---|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0) | 2025.02.11 |
하얀성 (0) | 2025.02.11 |
개미 살리는 선물.옵션 80/20 투자전략 (0) | 2025.02.11 |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