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저자: 칼 세이건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출판일: 2006년 12월
어떻게 글의 처음을 시작해야 좋을까 하는 고민부터 하기 시작한 것을 보니, 내가 책을 읽고 나름의 서평을 쓴 것도 그리고 자신의 에세이를 써내려갔던 것도 정말 기억하기 힘들 정도로 오래된 일이었던 것 같다. 아마도 한가롭게 글을 쓴다는 것이 힘들었는 지도 모른다. 갈 수록, 나름대로 정리해야 될 것이 무척이나 많이 생겼다. 사회생활이 오래 되어 갈 수록, 그에 따른 책임은 더욱 늘어나기에 집중을 해야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기는 한 듯하다. 그리고 고민을 늘어가는 듯 하다.
하지만, 우연히 바라 본 밤하늘의 빛나는 별들을 보면, 문득 자 자신의 존재의 유한함과 이들의 무한에 가까운 시간의 대비를 느낀다. 그 고고한 운행을 영원히 지속할 것 같은 천체의 움직임을 보노라면, 나의 고민조차 다 사라지는 듯 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내가 어린 시절에 읽었던 흥미로운 이야기의 연장인 듯 느껴졌다. 어린 시절에 내가 샀었던 책들 중에는 별자리 이야기를 정리한 책이 있었고, 별자리와 연관된 신화들을 읽어가면 그 신비로움은 절대 잊혀지지 않는 것이었다. 그런 기억들이 남았는지, 대학시절 놀러간 바닷가에서 오리온 자리를 바로보며 별을 찾았던 자신의 모습도 기억이 난다. 본서의 첫 장을 넘기면서, 마음 속에 두근거림이 없었다면 거짓이었을 것이다.
카오스와 대비되는 우주적 질서를 뜻하는 '코스모스'에서 저자는 우리들 존재 그 하나하나가 이러한 우주적 질서에서 태어났을 뿐만 아니라, 유리된 존재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빅뱅을 시작으로 한 우주적 팽창 과정에서, 생성된 별과 행성, 그리고 여기서 태어난 자기 복제가 가능한 원시스프에서의 생명의 시작. 그리고 진화를 통하여 이들은 더욱 복잡하게 발전했으며, 인간에 이루렀다. 인간에게 있어서 과학은 밤하늘의 별들을 바라보고 관찰하는 데서 시작했다. 고대 그리스 문명의 과학자들의 찬란한 업적, 그리고 이후의 종교로 인한 기나긴 암흑기를 겨우 극복한 근대과학. 지금 20세기 인간은 우주에 우주선을 보내고, 성간 여행이 가능한 우주선을 보내게 되었다.
인간이 무지와 편견, 그리고 미신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무척이나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그것을 극복하고 과학을 통해서 우주를 탐험할 수 있게 된 여정은, 한편의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연상하게 한다. 무한한 존재로 생각되는 우주, 별, 행성에 대한 우리들의 상상력과 의문은 어쩌면 부질없는 일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인간은 유한했지만, 세대를 거쳐 지식을 축적함으로써 우주적 질서의 한 작은 부분을 살펴보기 시작했다. 아마도, 내가 죽을 때까지 인간은 태양계를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지만, 어쩌면 몇 세대 뒤에 인간은 성간여행을 하고, 외계문명과 조우할 지도 모르는 일이다.
아마도 우리는 머나먼, 혹은 어쩌면 영원에 가까운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첫 장을 지금 막 써내려가는 중일 지도 모른다. 그리고, 나는 칼 세이건처럼 그러한 영원에 다가가려는 인간의 노력이 종교와 편견, 무지에 의해서 다시는 방해받지 않기를 기원할 뿐이다. 그리고 그의 말처럼 이 영겁에 가까운 시간과 공간의 단지 한 순간일 이 시간과 공간에 함께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음에 감사하고 싶다.
Carl Edward Sagan (November 9, 1934 – December 20, 1996) was an American astronomer, astrochemist, author, and highly successful populariser of astronomy, astrophysics and other natural sciences. He pioneered exobiology and promoted th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SETI). He is world-famous for writing popular science books and for co-writing and presenting the award-winning 1980 television series Cosmos: A Personal Voyage, which has been seen by more than 600 million people in over 60 countries, making it the most widely watched PBS program in history. A book to accompany the program was also published. He also wrote the novel Contact, the basis for the 1997 Robert Zemeckis film of the same name starring Jodie Foster. One of the last books he wrote was Pale Blue Dot. During his lifetime, Sagan published more than 600 scientific papers and popular articles and was author, co-author, or editor of more than 20 books. In his works, he frequently advocated sceptical inquiry, secular humanism, and the scientific method.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0) | 2025.04.23 |
---|---|
일본, 저탄소 사회로 달린다 : 김해창의 녹색 리포트 (0) | 2025.04.23 |
식량전쟁 : 배부른 제국과 굶주리는 세계 (1) | 2025.04.23 |
불황의 경제학 (0) | 2025.04.23 |
이기는 정주영 지지 않는 이병철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