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손의 미덕으로 미래를 바꾼 후진타오 이야기
저: 박근형
출판사: 명진출판
출판일: 2010년 03월
근래 의식하지 않은 사이 중국에 대한 책을 많이 읽는 것 같다. 아무래도 중국의 발전이 짧은 기간 압축적이고 폭발적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있기 때문에 1980 ~ 1990년대 일본의 급격한 성장에 호들갑을 떨던 모습과 약간은 비슷한 면도 없진 않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차이나메리카'에서 보았든 미국인의 시선조차 변화하고 있다. 이제 중국을 G2의 하나로 인정하고, 미래를 위해 서로 협력해야되는 파트너로 이미지를 재구축하자는 단계에 와있는 것이다. 중국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커다란 공헌을 한 것은 일반 대중의 힘이 근원적이지만, 공산당 일당 독재에 따른 중앙집권적 정책과 이를 집행한 지도층에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헨델 존스도 국가발전에 충실한 이들 공산당 지도층에 주목한 바 있고, 또 한편으로는 요코야마 히로아키가 말한 '현인지배의 선정주의'의 일면도 적용할 수 있지 않나 싶다.
박근형이 서문에서 밝힌 대로, 현 중국을 이끌어가고 있는 4세대 지도자 후진타오는 평화주의자도 휴머니스트도 아니다. 그는 겸손하고 능력이 있기는 하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매우 현실적인 정치 지도자라는 것이다. 하지만, 어쩌면 후진타오가 현대 중국의 최고 지도자가 되어가는 과정은 말 그대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탄생 이래 이루어진 커다른 변화의 모습을 전부 응축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후진타오는 국공내전에서의 공산당 승리로 인해, 삶의 방식이 바꿔는 것을 경험했다. 한편, 칭화대 수리과를 다닐 당시에는 문화혁명의 광풍에 시련을 겪기도 했다. 이후 승진을 거듭하다가 티베트를 담당하면서 한편으로는 온화하고 겸손한 성품 뿐만이 아니라 단호한 성격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덩 샤오핑을 비롯한 중앙의 지도층에게 강렬한 이미지를 주었던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후진타오가 중국의 최고 지도자가 되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독특한 중국의 일면을 볼 수 있다. 즉, 그것은 국가 지도자를 선발하는 데 있어서의 이 독특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최고 지도자 그룹은 일찍부터 말단 관리부터 시작해서 여러 직책을 수행하여 그 능력을 지속적으로 검증받는다. 따라서 정치권 내부의 경쟁은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치열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의 검증은 국가발전에 사명감을 가진 엘리트 지도층을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5세대 지도자로 떠오르는 시진핑으로 권력승계도 순조롭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어, 중국의 지도력은 서구사회와 같은 부침의 과정은 있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전과 같은 개혁,개방과 보수의 대립도 중국의 폭발적 발전으로 인해 잠잠해질 것이다.
그러나 박근형이 지적한 대로, 이러한 지도자 선출과정이 절대적으로 민주적이지 않다는 것은 지적할 필요가 있다.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폭발한 그 때를 기억하는가? 1989년의 천안문 사태를 말이다. 중국의 발전이 눈부신 이 때, 일반 대중들의 불만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것이 늦춰진다면 어떻게 될까. 분열과 통합의 역사를 반복해온 중국사에서 이 똑똑한 중국 지도층에게 가장 두려운 시나리오는 중국의 분열일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후진타오 그리고 그 뒤를 이을 것 같은 시진핑과 같은 차세대 주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안정화된 중국일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후일 중국사의 가장 역동적인 순간이라고 평가될 시기를 옆에서 지켜보는 아니 정확하게는 함께 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Hu Jintao (born 21 December 1942) is the current Paramount Lead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e has held the titles of General Secreta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since 2002, Presid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ince 2003, and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since 2004, succeeding Jiang Zemin as the top leader of the fourth generation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Xi Jinping (born 1 June 1953) is a senior lead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e currently serves as the top-ranking member of the Secretariat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country's Vice President, Vice-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Principal of the Central Party School and the 6th-ranked member of the Politburo Standing Committee, China's de facto top power organ.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희처럼 생각하고 정몽구처럼 행동하라 (0) | 2025.05.11 |
---|---|
베이징 특파원 중국경제를 말하다 (1) | 2025.05.11 |
발칙한 군사학 (0) | 2025.05.11 |
중화민국사 (0) | 2025.05.11 |
SF 철학 (0) | 2025.05.11 |